경상북도는 빅데이터 기반 지역특성에 맞는 「마을단위 생활SOC* 최적지점」 분석결과를 발표하였다.

생활 SOC 또는 기초생활 인프라 란? 사람들이 먹고, 자고, 자녀를 키우고, 노인을 부양하고, 일하고 쉬는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필수 인프라

이번 분석은 국가 최저기준*이 도시지역 기준으로 지역 실정에 맞는 기준을 재설정하여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정책정보 서비스 모형을 개발하고자 분석했다.

국가 최저기준이란 주민들이 보편적 생활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도보 또는 차량기준 이동 최저시간을 말한다.

먼저, 생활SOC 대상을 39종으로 확대했다. 국가 최저기준은 29종으로 주민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버스정류장, 터미널, 미용실, 목욕탕 등 15종은 추가하고 건강생활지원센터 등 시설수가 적은 5종은 제외되었다.

두 번째, 생활 SOC 이동시간과 수단은 현실화하였다. 경로당, 어린이집 등 9종은 도보기준(10분)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시설은 차량기준 이동 시간으로 설정했다.

세 번째, 생활 SOC 접근성을 새롭게 적용했다. 정부는 거주지에서 지도상 직선거리를 적용하였는데 도는 국토지리정보원의 실제 도로망 데이터를 활용․분석했다.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과소하게 추정되는 시설을 도출할 수 있으며, 행정구역이 아닌 생활권 단위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기초생활 인프라에 대한 읍면동 또는 마을단위 공급․수요표를 작성하였다. 생활SOC 시설별로 과부족 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서비스 인구, 이동거리, 방법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신규 설치 또는 복합화시 최적지점 분석서비스 모형을 개발했다.

김장호 경상북도 기획조정실장은 “마을단위 생활SOC 최적지점분석은 지역 여건과 정책수요에 부응하는 맞춤형 분석”이라고 평가하고 “지역균형 발전과 소멸대응 그리고 자립적 기초생활 인프라 정책수립에 적극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도는‘생활SOC 최적지점 분석모델’을 개발하여 빅데이터 통합플랫폼을 통해 서비스할 예정이며 기초생활 인프라 수요․공급표는 통계청 통계지리정보시스템(SGIS)를 통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할 예정이다.

한길뉴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