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집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귀농·귀촌 체험마을을 조성하자(한길뉴스 신종식 기자) =

전국 도·농 복합도시마다 인구감소 해결방안으로 귀농·귀촌을 유도하고 있다. 김천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현재처럼 해서는 귀농·귀촌을 하려는 이들이게 큰 도움이 되지 못할뿐더러 설사 귀농·귀촌을 했더라도 제대로 정착을 하지 못하고 이웃 주민과 마찰을 빚어 다시 떠나거나 후회하면서 단절된 생활을 하는 일이 반복될 뿐이다.

현재 1박2일 혹은 4박5일로 진행하는 체험방식의 형식적이며 요식적인 정책에서 패러다임을 바꿔 관련부서가 모여 업무를 분담하고 이를 통합 관리할 전담팀을 만들고 법적 검토와 예산을 배정해 실질적인 귀농·귀촌으로 만들어야 한다.

예를 들어보자.

몇 년전에 부산에 사는 지인이 귀촌을 하고 싶다고 농업기술센터에 상담을 한적이 있다.

귀촌을 하려면 거주할 집이 필요한데 본인이 알아보라는 것이다. 해당 지역 지리도 모르고 사람도 모르는데 어떻게 거주할 집을 구할 수 있을까?

생업에 종사하면서 하는 수 없이 3일을 휴가 내서 김천에서 헤매다가 결국 포기하고 예천으로 갔다.

시골에 빈집이 넘쳐나는데도 불구하고 시에는 이들 빈집에 대한 상세한 데이터베이스 조차 없다. 빈집이 있다고 해도 집주인 연락처나 가격을 알 길이 없다.

면사무소나 농업기술센터나 본청이나 이를 파악하고 안내내지 제공하는 부서나 담당자가 없다.

새삼 스마트 IT시대에 맞는 데이터베이스가 중요한 이유다.

귀농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지례 5개면에 귀농인들이 많이 있어 이들을 인터뷰한 적이 있다. 이들은 이구동성으로 귀농에 대한 제대로 안내나 정보가 없다고 말한다. 그나마 친척이 있는 경우는 친척의 도움을 받아 귀농 후 정착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고 한다.

친척이 없는 경우 농지를 임대하려고 해도 힘들다는 것이다.

임대하려는 밭이나 논의 경우 사용료가 비싸거나 지역의 특성에 맞춰 과수를 심으려 해도 농지주인이 허락을 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접근성이 떨어지거나 농기계 이동이 힘든 부지라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채소와 같은 일반작물을 심을 수밖에 없고 소득이 떨어지니 자신의 농사를 짓는 것이 아니라 농번기와 농한기 가릴 것 없이 품팔이를 해야 겨우 생계유지가 된다는 것이다.

김천의 경우 귀농 상담을 받으면 김천에서 소득이 높은 사과나 배 그리고 포도와 같은 과수작물을 많이 권한다.

이는 지역에 기술을 가진 농민이 많고 소득도 높으면서 판로가 안정적이기 때문에 나름 타당성이 있어 보이면서도 귀농을 결심한 이들의 현실적 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대도시에서 소득도 높고 잘살고 있는데 굳이 힘들게 수 억에서 10억 이상씩 투자해서 귀농을 하려는 이들이 있을까 하는 점이다.

귀농을 하려는 이들 대부분은 환경과 경제여건의 어려움 때문에 귀농을 결심한다.

그럼 귀농하려는 사람의 경제적 여건을 고려한 접근과 상담이 필요하다.

또한, 귀농을 하기 전 최소한 6개월에서 1년 정도 이들이 귀농 시 겪게 될 농사지식과 농촌문화에 대한 이해와 체험이 필요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 제안한다면 면부에 있는 빈집을 주인의 동의 하에 시에서 확보하고 마을 소득사업으로 리 모델링을 통해 귀촌이나 귀농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저렴한 사용료를 받고 최소 한 달에서 1년 정도 이웃과 생활을 하면서 농촌 적응과 농사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해서 정착을 원하면 집 주인과 거래를 성사 시켜주면 되지 않을까 싶다.

이것이 힘들다면 시에서 부지를 확보하고 체험마을을 조성해 귀농·귀촌을 원하는 사람에게 17평 정도되는 집과 귀촌은 100평에서 150평 정도의 텃밭을 귀농은 300평의 부지에 과수나 작물을 심어 놓고 이들이 원하는 기간 동안 일정 사용료와 교육비를 받고 체험과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있을 수 있다.

체험을 하는 기간 동안 본인들이 원하는 지역에 집을 마련할 수도 농지를 임대 혹은 매입 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한다.

시 행정이 절차와 법규에 어려운 점은 있을 수 있지만 규제는 풀라고 있는 것이다.

또한, 귀농·귀촌도 하나의 시장으로 본다면 소비자다. 소비자의 의견과 필요에 맞는 정책을 펼쳐야 성공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패러다임을 바꿔보자!

한길뉴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