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석) = 일부언론 ‘노무현 흠집내기’ 하고 있나
상당수 기자들은 일부 언론이 노무현 대통령과 참여정부에 대해 흠집내기식 보도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자들의 69.7%는 ‘노대통령과 참여정부에 대해 흠집내기식 보도를 하고 있다는 주장이 있는데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동의했으며 세명 중 한명꼴인 27.0%의 기자들은 ‘매우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소 동의한다’는 기자는 42.7%였다.
반면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30.3%로 나타났다.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는 5.0%, ‘별로 동의하지 않는다’는 25.3%였다. ‘동의한다’는 응답은 서울과 지방이 각각 69.9%, 69.5%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매체별로는 방송(중앙방송 72.7%, 지방방송 80.0%)이 신문(중앙일간지 71.4%, 경제신문 70.0%, 스포츠신문 60.0%, 지방신문 68.4%)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부서별로는 경제부 88.4%, 정치부 72.8%, 문화부 72.6%의 순으로 ‘동의한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근무년수별로는 6∼10년차 기자들(75.9%), 직급별로는 평기자(71.2%)의 응답이 많았다.
참여정부 출범뒤 관료들과 술자리 줄었나
노대통령이 권언유착 단절과 언론과의 건전한 긴장관계를 강조하며 ‘소주파티’식의 기자접촉을 삼가라고 밝힌 것과 관련, 실제로 정부 관료들과의 비공식적인 술자리가 줄어들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66.2%의 기자들이 ‘줄어든 편’이라고 응답했다.
‘많이 줄어들었다’는 응답은 17.3%였으며 ‘조금 줄어든 편’이라는 응답은 48.9%였다. 반면 ‘변화가 없다’는 응답도 17.3%를 차지했으며 ‘잘 모르겠다’는 대답도 16.5%로 나타났다.
‘줄어든 편’이라는 응답은 여자(71.9%)가 남자(64.9%)보다 많았으며 서울(72.3%)이 지방(57.6%)보다 많았다. 매체별로는 경제신문(80.0%)과 중앙방송(77.3%)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부서별로는 경제부(82.9%)에서 응답이 많았다.
매체별로는 경제신문과 부서별로는 경제부에서 ‘줄어든 편’이라는 응답이 많았던 게 주목된다.
정치부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변화가 없다’는 응답이 25.0%로 다른 부서에 비해 높게 나와 경제신문이나 경제부와 대조를 이뤘다. ‘변화가 없다’는 응답은 지방(29.8%)이 서울(8.5%)보다 많아 지방에서 ‘비공식 접촉’이 아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정부의 언론개혁 성공할 것인가
참여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기자실 개방, 가판 구독 중단, 긴장관계 유지 등 일련의 ‘노무현식 언론개혁’에 대해 최종적인 성공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대체로 회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정부의 언론개혁 성공 가능성에 대해 66.8%의 기자들은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전혀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는 응답이 9.2%였으며 ‘별로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는 응답은 57.6%로 과반수를 넘었다.
반면 ‘성공할 것’이라는 응답은 30.6%로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아주 성공할 것’이라는 응답은 0.9%에 불과했으며 ‘어느 정도 성공할 것’이라는 응답은 29.6%로 나타났다.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는 응답은 남자(66.6%)와 여자(68.0%). 서울(66.1%)과 지방(67.9%)이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으며 매체별로는 중앙방송(65.9%), 중앙일간지(67.4%), 경제신문(70.0%), 스포츠신문(64.0%), 지방신문(66.5%), 지방방송(70.0%)이 그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근무년수별로는 1∼5년차가 70.2%로 성공가능성이 낮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다음으로 11년 이상이 67.8%, 6∼10년차가 60.4%로 상당수 젊은 기자들이 성공가능성을 낮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문고시 위반에 대한 공정위 직접규제
신문고시 위반에 대해 공정위가 직접 규제에 나서는 것에 대해 언론탄압 논란이 이는 것과 관련, 대부분의 기자들은 이를 공정위의 당연한 업무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3.4%의 기자들은 공정위의 직접 규제를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언론탄압 소지가 있다’는 의견은 32.2%로 나타났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3.4%였다.
‘공정위의 당연한 임무’라는 응답은 매체별로 중앙방송(70.5%)과 지방신문(65.0%)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부서별로는 과학부(86.4%), 정치부(77.3%)가 높았다. 근무년수별로는 1∼5년이 64.4%, 6∼10년이 64.7%, 11년 이상이 60.9%로 나타나 큰 격차를 보이지 않았다.
‘언론탄압 소지가 있다’는 응답은 남자(31.8%)보다는 여자(34.0%)가. 지방(30.5%)보다는 서울(33.4%)에서 응답이 많았다. 매체별 비교에서는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는데 신문만을 비교해보면 경제신문이 45.0%, 중앙일간지 36.3%, 스포츠신문이 36.0%로 ‘언론탄압 소지’라고 응답했다.
그러나 지방신문의 경우는 30.7%로 다른 신문들보다는 상대적으로 응답이 적었다. 이는 ‘공정위의 당연한 업무’라는 응답이 지방신문에서 높게 나온 것과 함께 상대적으로 자금력이 빈약한 지방신문들이 서울지역 신문들의 경품공세를 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것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우리언론의 가장 큰 문제점은
‘우리 언론의 가장 큰 문제점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40.7%의 기자들이 ‘자사 입맛에 맞는 취재와 편집으로 공정성 훼손’을 들었다.
이어 ‘왜곡된 신문시장과 지상파 방송의 독과점 구조’가 25.3%, ‘기자들의 소명의식 부족과 특권의식’이 14.8%, ‘직장인화 된 기자들의 자사 이기주의’가 13.7%의 순이었다. ‘촌지수수 관행 등 비윤리적 행위’를 지적한 기자들은 2.0%에 그쳐 노골적인 금품 수수는 점차 사라지는 추세임을 나타났다.
‘공정성 훼손’이라는 응답은 중앙방송(45.5%), 중앙일간지(46.5%), 경제신문(45.0%) 등에서 고르게 나왔으며 부서별로는 편집부가 53.5%로 가장 많았다. 근무년수별로는 1∼5년이 32.9%, 6~10년이 37.0%, 11년 이상이 52.0%로 나와 연차가 많을수록 ‘공정성 훼손’을 꼽은 경우가 많았다.
젊은 기자들에게서 많았던 응답은 ‘왜곡된 신문시장과 지상파 방송의 독과점 구조’로 1~5년이 36.7%, 6~10년이 24.7%, 11년 이상이 13.1%로 나타났다. 지방신문(29.1%)과 지방방송(40.0%) 역시 시장의 독과점 문제를 지적한 응답이 많았다.
사내에서 광고청탁 지시 받은적 있나
‘출입처나 취재원에게 광고청탁을 하라는 부탁 또는 지시를 사내에서 받은 적이 있느냐’라는 질문에 대해 39.2%에 달하는 기자들이 ‘있다’고 응답해 적지 않은 기자들이 광고압력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이 있다’는 응답은 3.3%였고 ‘조금 있다’는 응답은 35.9%였다. ‘광고청탁을 하라는 지시를 받은 적이 없다’는 응답은 60.8%였다.
‘지시를 받았다’는 응답은 지방이 61.8%로 서울(23.1%)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체별로는 지방신문과 경제신문이 각각 66.9%, 50.0%로 가장 높게 나타나 지방지와 경제지가 상대적으로 사내 광고청탁 압력이 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서별로는 정치부가 45.6%, 경제부가 45.3%, 사회부가 45.2%로 나타나 광고압력은 부서를 가리지 않고 가해지고 있음을 드러냈다. 근무년차별로는 1~5년이 35.1%, 6~10년이 26.3%, 11년 이상이 53.2%로 입사초반부나 간부급 이상 기자들에 대한 광고수주 압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직급별로도 평기자(32.3%)보다는 국장·부장·차장급(57.3%)에서 광고수주 압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출입처나 취재원에게 광고청탁한 경험
기자 본인이 출입처나 취재원에게 광고청탁을 한 경험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28.5%의 기자들이 있다고 응답해 사내에서 압력을 받았다는 응답에 비해서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많이 있다’는 응답은 1.0%였으며 ‘조금 있다’는 응답은 27.5%였다.
‘기자 본인이 광고청탁을 했다’는 응답은 사내 압력 여부를 묻는 질문과 마찬가지로 지방이 44.2%로 서울(17.4%)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매체별로도 지방신문(48.9%)과 경제신문(40.0%)의 비중이 높았다.
부서별로는 정치부(33.5%), 경제부(34.4%), 사회부(32.9%), 문화부(33.0%)등이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근무년수별로는 역시 경력이 많은 기자들이 광고청탁을 한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1~5년, 6~10년, 11차 이상이 각각 21.3%, 19.0%, 43.5%였다. 직급별로도 평기자(22.7%)보다는 국부차장급(44.8%)에서 광고청탁을 한 적이 있다는 응답이 많았다.
재계입장 반영하는 기사 늘었나
최근 광고시장의 악화로 경영이 어려워지면서 재계입장을 대변하는 기사가 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상당수 기자들은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자들의 58.9%는 이러한 주장에 ‘동의한다’고 응답했으며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35.5%로 나타났다. ‘동의한다’는 응답 가운데는 ‘매우 동의한다’가 12.6%, ‘다소 동의한다’가 46.3%였으며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 가운데는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가 3.9%, ‘별로 동의하지 않는다’가 31.6%로 조사됐다.
‘동의한다’는 응답은 지방이 68.7%로 서울(51.8%)보다 많았으며 매체별로는 지방신문이 70.2%, 경제신문이 65.0%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자(61.4%)가 남자(58.3%)보다 약간 높게 나왔고 부서별로는 편집부가 72.4%로 가장 높게 조사됐다.
근무년수별로는 오래 근무한 기자일수록 재계 입장을 대변하는 기사가 늘었다는 응답이 많았는데 11년차 이상에서는 65.9%, 6∼10년은 56.0%, 1∼5년은 54.3%로 집계됐다.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스포츠신문(44.0%)과 국제부(62.3%)에서 많이 나왔으며 근무년수가 짧을수록 비율이 높아 1∼5년, 6∼10년, 11년차 이상이 각각 40.5%, 35.2%, 30.3%로 나타났다.
온라인사이트 강화 어떻게 생각하나
신문사들의 온라인 사이트 강화 추세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 대해선 이러한 추세에 동의하는 기자들의 비율이 높았다. 60.6%의 기자들은 ‘변화된 언론환경에 부응해 인터넷에 더 투자를 해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종이신문의 품질 향상에 기반한 경쟁력 강화가 우선’이라는 응답은 36.8%로 나타났다.
‘인터넷에 더 투자를 해야 한다’는 응답은 서울이 62.7%로 지방(57.6%)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지방에서의 응답이 적은 것은 지방 언론사의 상대적인 자금력 부족에도 한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매체별로는 중앙방송(77.3%)과 지방방송(70.0%), 스포츠신문(68.0%)의 응답이 많았고 부서별로는 사회부(71.3%)와 과학부(70.1%)의 응답이 많았다.
근무년수별로는 1∼5년이 58.4%, 6∼10년이 73.5%, 11년차 이상이 53.5%로 오히려 입사 초반부의 기자보다는 중견기자급에서 인터넷 투자를 더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종이신문의 품질 향상이 우선’이라는 응답은 서울(33.9%)보다는 지방(40.9%)의 응답이 많았고 매체별로는 경제신문(45.0%), 지방신문(42.4%), 중앙일간지(41.4%)의 응답이 많았다. 부서별로는 경제부(48.0%), 체육부(47.2%), 정치부(44.8%)의 응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 총선에서 영향력 발휘할 매체
17대 총선에서 가장 영향력을 발휘할 매체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TV가 압도적으로 꼽혔으며 다음으로 인터넷미디어를 꼽아 신문이 인터넷에 뒤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영상매체의 위력이 날로 커져가고 인터넷 등 뉴미디어가 전통적인 인쇄매체의 영향력을 급속하게 잠식해 들어가는 현실에 대한 기자들의 인식이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내년 총선에서 가장 영향력이 클 매체로 TV를 꼽은 기자들은 63.6%에 달했다. 이어 인터넷미디어가 21.1%, 신문이 13.7%로 나타났다. ‘TV가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라는 응답은 서울이 69.2%로 지방(55.7%)보다 많았으며 매체별로는 지방방송(90.0%)과 중앙방송(84.1%) 등 방송기자들의 응답이 많았다.
신문기자의 경우에는 중앙일간지 64.5%, 경제신문 65.0%, 지방신문 51.9%로 상대적으로 응답이 적었다. 부서별로는 국제부(75.2%) 과학부(71.5%), 체육부(80.9%)에서 응답이 많았으며 근무년수별로는 오래 근무한 기자들의 응답이 많아 11년 이상과 6∼10년차가 각각 68.4%, 1∼5년차가 55.9%로 나타났다.
인터넷미디어를 꼽은 기자들은 여자(28.2%)가 남자(19.5%)보다 많았으며 지방(26.3%)이 서울(17.4%)보다 많았다. 매체별로는 지방신문(29.6%), 스포츠신문(28.0%), 경제신문(25.0%)의 응답이 많았다. 근무년수별로는 아무래도 젊은 기자들의 응답이 많아 1∼5년이 31.4%, 6∼10년이 17.7%, 11년차 이상이 12.4%로 나타났다.
신문을 꼽은 기자들은 남자(14.8%)가 여자(8.9%)보다 많았으며 서울(11.7%)보다 지방(16.5%)이 많았다. 매체별로는 신문기자들의 응답이 많아 중앙일간지 16.1%, 경제신문 10.0%, 지방신문 16.8%로 집계됐다. 근무년수별로는 오래 근무할 기자일수록 응답이 많아 11년차 이상이 16.6%, 6∼10년이 12.6%, 1∼5년이 11.8%로 나타났다.
현재 소속사의 비전 어떻게 보나
소속사의 향후 비전을 묻는 질문에는 낙관적으로 생각하는 기자들이 비관적으로 생각하는 기자들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자들의 43.5%는 ‘향후 비전이 밝다’고 응답했으며 36.3%의 기자들은 ‘그저 그렇다’ 19.8%의 기자들은 ‘어둡다’고 응답했다. ‘매우 밝다’는 응답은 4.7%, ‘다소 밝다’는 38.8%였으며 ‘매우 어둡다’는 2.2%, ‘다소 어둡다’는 17.6%로 나타났다.
‘밝다’는 응답은 서울이 51.0%로 지방(32.9%)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매체별로는 방송기자들의 응답이 많아 중앙방송이 63.6%, 지방방송이 50.0%로 나타났으며 스포츠신문의 응답도 56.0%로 나타났다. 부서별로는 체육부(60.6%)와 국제부(58.1%)의 응답이 많았다. 근무년수별로는 중견기자들의 응답이 많았는데 1∼5년차와 11년차 이상이 각각 46.1%와 35.0%였으며 6∼10년차 기자들은 51.2%로 나타났다.
‘어둡다’는 응답은 서울(12.9%)보다 지방(29.5%)의 응답이 많았고 지방신문(30.6%)과 경제신문(30.0%)의 응답이 많았다. 부서별로는 정치부와 편집부의 응답이 많아 각각 32.0%, 30.0%로 나타났다.
기자들의 연봉수준은
연봉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반수에 가까운 기자들이 3000만원 미만인 것으로 조사됐다. 2500만원 미만인 기자들은 26.5%, 2500만원이상 3000만원 이하인 기자들은 20.8%로 나타났다. 3000만원 미만인 기자들은 47.3%로 집계됐으며 3000만원 이상 4000만원 미만은 20.6%, 4000만원 이상은 26.1%로 나타났다. 6.0%의 기자들은 응답하지 않았다.
연봉수준은 서울과 지방, 방송과 신문이 격차를 보였는데 ‘2500만원 미만’이라는 응답은 지방이 58.8%로 서울(3.4%)보다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특히 지방신문이 66.2%로 두드러졌다. ‘2500만원 이상 3000만원 미만’이라는 응답은 중앙일간지(26.3%)와 근무년수 1∼5년(31.1%)에서 높게 나타났다.
‘3000만원 이상 4000만원 이하’라는 응답은 서울(30.9%)이 지방(6.1%)보다 많았으며 매체별로는 스포츠신문(48.0%), 중앙일간지(31.1%), 경제신문(30.0%)에서의 응답이 많았다. 근무년수별로는 6∼10년(31.8%)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4000만원 이상’이라는 응답은 서울(36.3%)이 지방(11.9%)보다 많았고 매체별로는 중앙방송(54.5%)과 지방방송(50.0%)이 두드러졌다. 근무년수별로는 오래 근무한 기자일수록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1∼5년, 6∼10년, 11년차 이상이 각각 5.2%, 29.1%, 46.9%로 집계됐다.

한길뉴스 후원하기